LIFE PLUS

M E N U

공연 · 전시

공연 · 전시

[부산 공연] 이번 주에 뭐 볼까? [2025년 3월 17~23일]

2025.03.28

100세의 전설 제갈삼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부산청년오케스트라’ 공연이 오는 22일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부산청년오케스트라 제공
100세의 전설 제갈삼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부산청년오케스트라’ 공연이 오는 22일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부산청년오케스트라 제공


제12회 스페셜 아티스트 ‘부산독일가곡연구회와 함께하는 신춘 음악회’ [을숙도문화회관 대공연]

제12회 스페셜 아티스트 ‘부산독일가곡연구회와 함께하는 신춘 음악회’ 포스터.
제12회 스페셜 아티스트 ‘부산독일가곡연구회와 함께하는 신춘 음악회’ 포스터.


을숙도문화회관이 기획 공연으로 선보이는 ‘스페셜 아티스트’ 열두 번째 무대는 전문예술단체 부산독일가곡연구회의 신춘 음악회로 꾸민다. 독일에서 공부한 성악가들이 미래필하모니오케스트라(지휘 박성은) 반주로, 1부는 대중들에게 알려진 한국 가곡과 민요 애창곡을, 2부는 독일 오페레타 ‘박쥐’ ‘주디타’ 아리아 등을 원어로 들려준다. 출연 소프라노 김현주·장은녕, 메조소프라노 강수정, 테너 김지호·조윤환, 바리톤 문정현·김태우·지광윤, 피아노 박지혜. ▶3월 18일(화) 오후 7시 30분 을숙도문화회관 대공연장. 관람료 1층 1만 원, 2층 5000원(예매 시 20% 할인).

해운대문화회관 on screen concert-거슈인 영화음악 콘서트 [해운대문화회관 고운홀]

거슈인 영화음악 콘서트 스틸. 해운대문화회관 제공
거슈인 영화음악 콘서트 스틸. 해운대문화회관 제공


해운대문화회관이 2025년 새롭게 선보인 영상 상영회 ‘온 스크린 콘서트’ 두 번째 공연은 ‘거슈윈 영화음악 콘서트’로 영국 방송국 BBC 프롬스(Proms) 공연 영상을 대형 스크린과 웅장한 사운드로 감상한다. 거슈윈의 대표적인 영화음악을 만나볼 수 있다. ‘랩소디 인 블루’ ‘파리의 아메리카인’ ‘쉘 위 댄스’ ‘스타 이즈 본’ 등 우리에게 익숙한 명곡이 존 윌슨 오케스트라(지휘 존 윌슨)의 연주로 재탄생된다. ▶3월 18일(화) 오후 7시 30분 해운대문화회관 고운홀. 전석 5000원.

제881회 금정수요음악회: 제4회 금원풍류 정기연주회 ‘茶(차)와 가야금’ [금정문화회관 은빛샘홀]

제881회 금정수요음악회: 제4회 금원풍류 정기연주회 ‘茶(차)와 가야금’ 포스터.
제881회 금정수요음악회: 제4회 금원풍류 정기연주회 ‘茶(차)와 가야금’ 포스터.


이번 금정수요음악회는 가야금 앙상블 ‘금원풍류(錦源風流)’의 제4회 정기 연주회로 열린다. 금원풍류는 “비단의 주재료인 명주실(錦)로 오동나무를 울려 소리 내는 가야금의 원류(源)가 되어 풍류(風流)를 즐긴다”라는 뜻이다. 금정문화회관은 “개량 악기와 퓨전음악이 넘쳐나는 현대 국악의 흐름 속에서 오롯이 12줄 명주실로 다채로운 음색과 표현으로 가야금의 깊은 맛을 선보이고자 만든 단체”라고 소개했다. 이번 무대에선 ‘천년만세’(법금 금원풍류, 양 금 임꽃가람·김다희, 해금 방병원, 차 시연 금당차문화회), ‘새가락별곡’(산조 가야금 최미란, 장구 송강수), 가야금병창 ‘심청가’ 중 ‘방아타령’(병창 금원풍류, 장구 송강수),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 한바탕(산조 가야금 금원풍류, 장구 송강수)을 선보인다. ▶3월 19일(수) 오후 7시 30분 금정문화회관 은빛샘홀. 관람 등급 8세 이상 입장 가능. 관람료 1만 원.

영도문화예술회관 수요상설공연 onStage-모던국악밴드 탈피: 영도의 자연과 함께 일상에서의 ‘탈피’ [영도문화예술회관 절영홀]

영도문화예술회관 수요상설공연 onStage-모던국악밴드 탈피: 영도의 자연과 함께 일상에서의 ‘탈피’ 포스터.
영도문화예술회관 수요상설공연 onStage-모던국악밴드 탈피: 영도의 자연과 함께 일상에서의 ‘탈피’ 포스터.


영도문화예술회관 이번 주 수요상설공연 주인공은 부산을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활동하는 모던국악밴드 ‘탈피’이다. 영도문화예술회관은 “탈피(TALPI)는 2022년 결성된 팀으로, 국악의 저변 확대와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되 기존의 관습에서 탈피해 새로운 음악을 만들고자 창단했다”며 “활기차고 즐거운 공연 문화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 콘셉트는 총 3부로 나눠서 영도의 자연, 영도의 밤, 영도의 산을 주제로 진행한다. 자작곡을 포함해 ‘서동경’ ‘새타령’과 같은 전통 음악, 국악으로 재해석한 대중가요, K팝 등이 연주될 예정이다. 탈피는 디지털싱글 앨범 ‘동백’ ‘허영’ ‘성주풀이’를 발매한 바 있다. ▶3월 19일(수) 오후 7시 30분 영도문화예술회관 절영홀. 입장료 일반 1만 원, 할인 대상 5000원.

(재)부산문화회관 2025 기획 공연 ‘얼씨구 왕국의 삼총사’ [부산문화회관 사랑채극장]

(재)부산문화회관 2025 기획 공연 ‘얼씨구 왕국의 삼총사’ 포스터.
(재)부산문화회관 2025 기획 공연 ‘얼씨구 왕국의 삼총사’ 포스터.


(재)부산문화회관이 어린이전용극장 사랑채극장에서 약 3개월간 선보이는 국악인형극 ‘얼씨구 왕국의 삼총사’는 어린이를 위한 신나는 전통 음악 모험극이다. 얼씨구 왕국에 사는 국악기 친구들, 해그미, 피피리, 자장구가 펼치는 좌충우돌 모험 이야기를 펼친다. 어린이들에게 우리 전통악기를 친근하게 소개하고, 음악을 통해 협력과 조화의 가치를 전하는 특별한 시간으로 마련한다. 러닝타임 50분 이내. ▶6월 1일(일)까지 평일 오전 10시 30분, 주말 오전 11시 부산문화회관 사랑채극장. 36개월 이상 관람. 입장권 전석 2만 원.

제1249회 MBC 목요음악회-부산내셔널심포니오케스트라와 지비라이트가 함께하는 봄의 향연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MBC와 (사)문화도시부산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하고, (주)지비라이트, 부산내셔널심포니오케스트라, 동의대 미래교육원 공동 주관으로 선보이는 1249회 MBC 목요음악회. 동의대 미래교육원 원장을 맡고 있는 손명균이 부산내셔널심포니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피아니스트 박성열(추계예술대 교수)이 협연한다. 프로그램은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봄의 소리 왈츠’,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드보르자크 교향곡 8번이다. ▶3월 20일(목) 오후 7시 30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입장료 1층 1만 5000원, 2층 1만 원, 학생 5000원(당일 현장 판매).

제21회 라이징 뮤지션 콘서트 ‘Movie in Busan’ [을숙도문화회관 소공연장]

제21회 라이징 뮤지션 콘서트 ‘Movie in Busan’ 웹포스터.
제21회 라이징 뮤지션 콘서트 ‘Movie in Busan’ 웹포스터.


을숙도문화회관 기획 공연 중 하나였던 ‘청년예술공감’에서 이름을 바꾼 ‘라이징 뮤지션’ 콘서트 2025년 첫 무대를 장식할 팀은 ‘트레프 앙상블’이다. 플루트 김가영, 클라리넷 주현진, 오보에 문동원, 바순 김가원, 피아노 김수연, 퍼커션 곽선일이 출연해 부산 정취가 묻어나는 곡을 트레프 앙상블만의 편곡으로 선보인다. 해설 강상모, 편곡 조현재. ▶3월 20일(목) 오후 7시 30분 을숙도문화회관 소공연장. 관람료 전석 1만 원.

가족 뮤지컬 ‘반쪽이전’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가족 뮤지컬 ‘반쪽이전’ 포스터.
가족 뮤지컬 ‘반쪽이전’ 포스터.
가족 뮤지컬 ‘반쪽이전’ 공연 모습. 협동조합 손에손에 제공
가족 뮤지컬 ‘반쪽이전’ 공연 모습. 협동조합 손에손에 제공


1989년 국립국장 초연 이후 35년간 꾸준히 사랑받아 온 최장수 가족 뮤지컬 ‘반쪽이전’ 부산 공연. 전래동화 반쪽이를 모티브로 탄생한 가족 뮤지컬로, 국악의 흥겨운 선율과 전통 마당놀이의 생동감을 담아낸다. 작품은 선천적으로 장애를 안고 태어난 주인공 반쪽이가 친구들의 도움과 이쁜이의 사랑을 통해 자신의 결핍을 극복하며, 스스로를 온전히 받아들이게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공연을 제작한 ‘협동조합 손에손에’는 “감동적인 스토리와 중독성 있는 음악으로 3대가 함께 웃고 울며 공감할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창작진은 작가 김정숙, 연출 권호성, 작곡 연분홍, 편곡 양승환, 음악감독 이술아, 안무 석수정 등이다. ▶3월 22일(토) 오전 11시·오후 3시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티켓 R석 5만 원, S석 4만 원.

100세의 전설 제갈삼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부산청년오케스트라’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100세의 전설 제갈삼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부산청년오케스트라’가 22일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사진은 2020년 7월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열린 '기네스 음악회'에서 연주하는 제갈삼 교수 모
100세의 전설 제갈삼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부산청년오케스트라’가 22일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사진은 2020년 7월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열린 '기네스 음악회'에서 연주하는 제갈삼 교수 모습. 부산일보DB


‘부산청년오케스트라’(대표 홍기정)가 ‘국내 최고령 피아니스트’로 통하는 부산 음악계의 ‘전설’ 제갈삼(1925~ ) 전 부산대 교수의 백 세를 기념하는 무대를 마련한다. 부산청년오케스트라뿐 아니라 발달장애인 오케스트라 ‘더 날개’, 발달장애 연주자로 이뤄진 스트링 앙상블 ‘앙상블 WE’ 단원도 오케스트라에 가세한다. 이번 무대는 그의 창작곡을 중심으로 연주하되, 시벨리우스의 ‘전설’과 비에니아프스키 ‘전설’도 함께 연주하며 제갈 전 교수의 백 세 음악 인생을 상징적으로 담아내고자 한다. 이번에 연주될 제갈 전 교수의 곡은 ‘만월대’(원천석 작시), ‘파랑새’(한하운 작시), ‘바위’(유치환 작시), ‘내 구름 되거든’(김상훈 작시), ‘보리피리’(한하운 작시), ‘네가 가던 그날은’(김춘수 작시) 등 예술가곡 6곡과 그가 작시·작곡한 ‘부슬비’ ‘푸른 산 저 너머로’ ‘백제의 옛 서울’ ‘삼천리 고운 강산’ 등 4개의 합창곡, 그리고 ‘파랑새 주제에 의한 비가’ 피아노곡이다. 오케스트라 지휘는 박성완(부산대 명예교수)이 맡고, 협연은 제갈 전 교수와 인연이 있는 이들이 많이 나선다. 제자였던 피아노 조현선(경성대 명예교수)과 소프라노 김유섬(국립창원대 예술대 학장), 그에 의해 창단된 ‘부산트리오’의 명맥을 잇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백재진(동의대 명예교수), 그리고 테너 김지호(부산성악가협회장), 바리톤 안세범(동의대 외료교수), ‘오페리움 한울 콰이어’(지휘자 채범석) 등이다. 이번 음악회에 출연하는 ‘더 날개 오케스트라’는 부산 발달장애인 오케스트라로 2016년 창단했고, ‘앙상블 We’(음악감독 박경희)는 부산과 경남 출신의 발달장애 연주자로 이뤄진 스트링 앙상블로 2019년 4월 결성했다. ‘오페리움 한울 콰이어’(지휘자 채범석)는 오페라와 클래식 성악 대중화를 위해 애쓰는 단체로 14인의 성악가와 2인의 피아니스트, 1명의 무대감독으로 구성돼 있다. ▶3월 22일(토)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전석 무료.

부산뮤지카오스 초청 하우스 콘서트: 멜랑제 앙상블 ‘봄날’ [부산뮤지카오스]

부산뮤지카오스 초청 하우스 콘서트: 멜랑제 앙상블 ‘봄날’ 포스터.
부산뮤지카오스 초청 하우스 콘서트: 멜랑제 앙상블 ‘봄날’ 포스터.


성악가와 기악 연주자들이 어우러져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주하는 ‘멜랑제 앙상블’의 피아노 이윤지, 바이올린 김유리, 클라리넷 백동훈이 여는 하우스 콘서트. 영화 ‘웰컴투 동막골’ OST 중 ‘카자부에’와 ‘오즈의 마법사’ 중 ‘오버 더 레인보우’를 비롯해 다리우스 미요의 클라리넷,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트리오, 쇼스타코비치 두 대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5개의 소품, 바흐 파르티타, 피아졸라 ‘리베르탱고’ 등을 연주한다. 멜랑제 앙상블은 2021년 창단했다. ▶3월 22일(토) 오후 6시 부산 기장군 정관3로 51동 단지 내 부산뮤지카오스(음악이흐르는집). 전석 2만 원.

아르떼예술단협동조합 연합 연주회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더뉴앙상블이 주최하고, 아르떼예술단협동조합·골든심포니 오케스트라가 공동 주관해서 선보이는 연합 음악회. 더뉴앙상블, 아르떼 유스 오케스트라, 골든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출연한다. 공연은 김광현이 지휘하는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서곡으로 문을 열어서 레하르 오페레타 ‘미소의 나라’ 중 ‘그대는 나의 모든 것’과 레하르 오페레타 ‘주디타’ 중 ‘내 입술은 너무 뜨겁게 키스해’를 각각 테너 이태흠과 소프라노 김소율이 노래한 뒤 베토벤 교향곡 제5번 ‘운명’으로 마무리한다. 아르떼예술단협동조합은 신상준 대구가톨릭대 교수가 음악감독을 맡고 있다. ▶3월 23일(일) 오후 5시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전석 초대.

기자 프로필


0개의 댓글